伤高怀远几时穷?无物似情浓。离愁正引千丝乱,更东陌、飞絮蒙蒙。嘶骑渐遥,征尘不断,何处认郎踪?
双鸳池沼水溶溶,南北小桡通。梯横画阁黄昏后,又还是、斜月帘栊。沉恨细思,不如桃杏,犹解嫁东风。
높은 데서 멀리 떠난 님을 그리는 아픈 가슴은 언제까지
이 세상에 사랑보다 더 진한 것은 없으리
바람따라 흔들리는 천 가닥 버들가지는 이별의 슬픔인가
헤어지는 동쪽 밭두렁길엔
버들솜 자욱하게 흩날리네.
울부짖는 말은 점점 멀어져가고
흙먼지 일어나 가라앉을 줄 모르니
낭군님 발자취를 어디서 찾아야 하나
넘실거리는 호수에는 한 쌍의 원앙새
조각배 한 척 남북을 오가는구나.
황혼이 져 누각 사다리를 치우고
다시 한번 내다보니
발 쳐진 창으로 비스듬히 비치는 달빛.
가슴 가득한 말 못하는 심정
가만이 생각해보면
복숭아꽃 살구꽃이 차라리 나은 것은
동풍에게 시집가 바람따라 날려감이라.
장선은 일찌기 호수 안 섬의 누각에 거주하는 젊은 비구니와 사귄 적이 있었음. 같이 있는 나이 든 비구니의 통제가 엄격하여, 젊은 비구니는 밤이 깊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몰래 사다리를 타고 내려와 장선과 만남. 밀회를 끝내고 헤어질 때 장선이 너무 아쉬워하며 이 사를 써 자신의 품은 정을 표현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하나 호사가들이 지어낸 것이라고 함.
일총화는 상하 각 7구, 4평운, 총 78자로 구성된 사의 곡조 명.
'송사(宋词) > 宋词 张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青门引·乍暖还轻冷(청문인, 잠깐 따뜻하다 다시 쌀쌀해지다) (0) | 2021.08.05 |
---|---|
天仙子·水调数声持酒听(천선자, 수조*를 들으며 마신 술) (0) | 2021.08.04 |
醉垂鞭·双蝶绣罗裙(취수편, 나비 무늬 비단 치마) (0) | 2021.08.02 |
菩萨蛮·哀筝一弄湘江曲(보살만, 샹장곡* 쟁 연주) (0) | 2021.08.01 |
千秋岁·数声鶗鴂(천추세, 두견새 우는 소리) (0) | 202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