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타이 가는 길 3 1. 올라가는 길목 바위에 새겨진 점입봉래. "점점 신선의 땅으로 들어간다." 이 글을 새긴 연도가 확실히 나와 있어(건륭2년)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합니다. 봉래는 발해에 있는 신선이 산다는 전설상의 지명입니다. 2. 티앤타이 소개문. 김교각 스님이 티앤타이에 머물면서 도를 닦은 것을 기념하여 .. 중국/처쪼우(池州) 2008.10.19
티앤타이 가는 길 2 1. 티앤타이에 있는 자물쇠 뭉치들. 자물쇠에는 소원 하나씩 적혀 있습니다. 중국 어디를 가든지 명승지에는 소원을 적은 자물쇠 뭉치들이 수북합니다. 중국에서 자물쇠와 폭죽 장사는 망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2. 티앤타이 거의 다 왔습니다. 밑에 있는 큰 절이 古敬拜台, 꼭대기에 보이는 것이 티앤.. 중국/처쪼우(池州) 2008.10.18
티앤타이(天台) 가는 길 1 티앤타이사는 지우화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절입니다. 그러니까 절은 안보더라도 등산하는 셈 치고 올라가면 되는데 오르내리는 도중 곳곳에서 김교각스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티엔타이 올라가는 길에서 내려다 본 풍경 2. 천연 관음상이 있다고 해서 중간에 들러보니 길쭉한 자연.. 중국/처쪼우(池州) 2008.10.18
지우화산-화청사(化成寺) 화성사는 김교각 스님이 개척한 절로 구화산 최초의 사찰입니다. 지금은 역사문물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역사문물관이라고 해야 김교각스님의 일대기와 그의 업적을 소개하는 정도이고 실제 유물은 거의 볼 수 없으니 너무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화성사앞 방생못. 근처 가게마다.. 중국/처쪼우(池州) 2008.10.16
지우화산(九華山)-상선사,월신보전,지원사 지우화산은 신라 성덕대왕의 왕자 김교각이 당나라에 건너온 후 절을 개척하여 주지스님으로 있다가 입적한 후 성불한 곳으로 오늘날 푸투오산(普陀산), 어메이산(峨眉산), 우타이산(五台산)과 더불어 중국의 4대 불교성산으로 추앙받는 곳입니다. 그런데 지우화산이 4대성산에 포함된 것은 순전히 김.. 중국/처쪼우(池州) 2008.10.12
시우산먼(秀山門) 시우산먼은 옛처쪼우 서쪽성문으로 송나라 단핑(端平)2년, 1235년 주지사 왕보따(王伯大)가 량자오밍(梁昭明)태자를 기념하여 당시의 치우푸(秋浦)문을 바꾼 것인데 근대까지 완벽하게 보존되었던 것을 문화혁명때 파괴하고 말았습니다. 중국 여기저기의 숱한 문화재들이 파괴된 것을 보면 문화혁명이.. 중국/처쪼우(池州) 2008.10.10
싱화춘3 1. 두보와 관기 양씨(?)의 로맨스. 2. 싱화춘의 옛날 농구들 3. 옛 고관대작의 문 장식. 봉황 두마리가 마주보고 있습니다. 4. 청나라 건륭제가 싱화춘에 왔을때 사용했던 의자와 탁자 5. 건륭제 방문 당시 이 지역에 9대가 한집에 모여 같이 사는 집이 있었는데 그렇게 화목할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건륭.. 중국/처쪼우(池州) 2008.10.07
싱화춘2 1. 두씨 족보. 두보의 초상화 옆에 있는 사람은 아들입니다. 13번째 아들로 처쪼우자사 시절 관기와의 사랑의 결실인데 아들중 가장 아버지의 문학적 재질을 닮아 당대의 시인이 되었습니다. 2. 화이두시앤(懷杜軒). 두보를 그리며... 3. 두보의 목상과 그의 시 청명. 목상을 만드는데 사용된 나무는 200년 .. 중국/처쪼우(池州) 2008.10.06
싱화춘(杏花村) 시성(詩聖)이라고 불리는 두보의 시중에 가장 널리 애송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청명(淸明)인데 그 시의 주무대가 안후이의 처쪼우에 있는 행화촌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행화촌이라는 중국식당을 본 적은 있습니다만 왜 그런 이름을 붙였는지 물어보니 종업원들은 잘 모르더군요. 아마 주인장.. 중국/처쪼우(池州) 2008.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