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강순, 기다리는 마음(点绛唇·闺思) 寂寞深闺,柔肠一寸愁千缕。惜春春去,几点催花雨。倚遍阑干,只是无情绪。人何处,连天芳草,望断归来路。 적막 감도는 내실여린 마음은 한 조각인데 근심은 천 갈래이네봄을 아쉬워해도 봄은 떠나고몇 방울 비가 꽃을 재촉하는구나 난간에 기대어 있어도그저 무심해질 따름그 사람은 어디있을까푸른 풀이 하늘과 맞닿은 곳돌아오는 길이 보이지 않네 ▶ 1118년에서 1120년 사이, 조명성이 외지에서 근무하고 이청조는 칭저우(青州)에서남편을 기다리며 쓴 사. 이청조/사 2025.04.25
망해 버렸는가(完蛋了吗) 面油不减觉好过,更大悲事盖少康。母怨抛弃神听祷,都完蛋时就再求。 밀가루와 기름이 없어지지 않아 살만하다 생각하였는데더 큰 비극이 작은 행복을 덮어 버렸네어머니는 원망하며 포기했으나 하나님은 기도를 들으셨으니모두 끝나버렸다 할 때 한 번 더 구해볼 일이다 完蛋了嗎 面油不減覺好過,更大悲事蓋少康。母怨拋棄神聽禱,都完蛋時就再求。 자작 한시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