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月
年时节,元夜时,云鬓插小桃枝。今年早,不见你,泪珠儿,滴满了春衫袖儿。
한 해가 시작되는 절기
정월 대보름 밤이 되어
구름 같은 귀밑머리에 작은 복숭아 가지를 찔렀네1)
올해는 시작부터
당신이 보이지 않아
눈물이 방울져 떨어지더니
적삼 소매를 흥건히 적시네
1) 복숭아나무로 만든 칼은 나쁜 귀신을 죽인다고 믿었음.
三月
春三月,花满枝,秋千惹绿杨丝。才蹴罢,舒玉指,摸腰儿,谁拾得鲛绡帕儿。
춘 삼월
가지에 꽃이 가득하고
그네는 녹색 버들가지를 도발하네
힘껏 지쳐라
하얀 손가락을 펴고
허리를 짚고 있네
누가 비단 손수건 주워 줄까
四月
清和节,近洛时,寻思了又寻思。新荷叶,浑厮似,面花儿,贴在我芙蓉额儿。
날씨 맑고 따스한 계절
뤄양이 가까워지면서
이리 궁리해 보고 저리 궁리해 보았네
새로 나온 연꽃 잎사귀가
흡사
얼굴에 그린 꽃그림이요1)
내 이마에 붙인 연꽃 같았네
1) 고대 여자들은 얼굴을 꽃무늬로 장식하였는데 이를 화면(花面)이라 하였음. 이후 연극에서 배역의 얼굴에 각종 채색 도안을 그려 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나타냄.
'元曲 > 无名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조·수선자(双调·水仙子), 이악(李岳)1) (1) | 2024.03.19 |
---|---|
쌍조·수선자(双调·水仙子), 장과로(张果老)1) (0) | 2024.03.16 |
상조·오엽아(商调·梧叶儿), 키 큰 여인을 비웃다 (1) | 2024.03.13 |
상조·오엽아(商调·梧叶儿), 허풍쟁이를 비웃다 (0) | 2024.03.12 |
대석조·양관삼첩(大石调·阳关三叠) (0) | 202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