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唐诗)/唐诗 杜甫

丹青引-赠曹将军霸(그림을 노래함-차오장군에게 드림)

charmingryu 2020. 3. 14. 07:46
将军魏武之子孙,于今为庶为清门。
英雄割据虽已矣,文采风流犹尚存。
学书初学卫夫人,但恨无过王右军。
丹青不知老将至,富贵于我如浮云。
开元之中常引见,承恩数上南薰殿。
凌烟功臣少颜色,将军下笔开生面。
良相头上进贤冠,将士腰间大羽箭。
褒公鄂公毛发动,英姿飒爽来酣战。
先帝天马五花骢,画工如山貌不同
是日牵来赤墀下,迥立阊阖生长风。
诏谓将军拂绢素,意匠惨澹经营中。
斯须九重真龙出,一洗万古凡马空。
玉花却在御榻上,榻上庭前屹相向。
至尊含笑催赐金,圉人太仆皆惆怅。
弟子韩干早入室,亦能画马穷殊相。
干惟画肉不画骨,忍使骅骝气凋丧。
将军画善盖有神,必逢佳士亦写真。
即今漂泊干戈际,屡貌寻常行路人。
途穷反遭俗眼白,世上未有如公贫。
但看古来盛名下,终日坎壈缠其身。

장군은 위무제(魏武帝 : 조조曹操)의 후손인데,
어쩌다 비천하게 되어 삶이 곤궁하군요。
영웅할거의 시대는  끝난지 오래이나,
차오가문의 풍류는 지금도 여전합니다。
처음 웨이(卫)부인1을 배워 경지에 이르렀으나,
왕희지를 능가할 수 없어 한탄했었죠。
평생 그림에 몰두해 세월을 잊었고,
부귀영화는 장군에게 뜬구름과 같았습니다。
개원(开元)2 연간 현종 황제께서 부르시니,
승은을 입고 수차례 난쉰전(南薰殿)3에 올랐었죠。
링이엔각(凌烟阁)4의 퇴색된 공신 그림이,
장군의 붓질에 다시 산 사람이 되었으니。
머리에 진시앤관을(进贤冠)5 쓴 재상들과,
허리에 긴 활을 찬 장수들이었죠。
부르르 떨리는 바오공(褒公)과 어공(鄂公)6의 머리털,
당당한 풍채가 마치 전투중인 듯 합니다。
현종 황제의 천마인 우화총(五花骢)7
수많은 화가들이 그렸지만 같은 모습이 없었는데。
우화총이 붉은 계단 앞으로 끌려 와,
궁전 문을 향해 머리를 쳐들고 위풍을 과시한 날。
황상의 명으로 장군은 비단 화폭을 펼쳐,
고심을 거듭하며 그림의 구도를 생각해야 했죠。
잠깐 사이 황궁의 용마가 화폭에 나타났으니,
한번 붓질로 만대의 말들이 별볼일 없어졌군요。
위화총(玉花骢) 그림이 황제 앞에 드려지고,
그림속 말이 정원의 말과 당당하게 마주서자。
황상께서 흡족해 하시며 하사금을 독촉하니,
말관리와 수레 관리들 당황하여 어쩔줄 몰라했죠。
제자 한간(韩干)8도 일찌기 경지에 올라,
그 역시 다양한 동작의 말그림을 그렸는데。
외양은 생생하나 내면 표현이 모자라,
준마들의 기상이 드러나지 못했답니다。
장군의 그림에는 혼백이 충만하여,
어쩌다 참 선비를 만나야 초상화를 그려주었었죠。
지금은 전란으로 유리방황하는 신세가 되어,
길 지나는 사람들에게도 그려주는군요。
늘그막에 이렇게 무시받고 살아야 하니,
세상에 장군처럼 파란만장한 사람은 없을겁니다。
유사이래 자자한 명성의 영웅들중에,
말년에 고단하지 않았던 이가 어디 있나요?

* 차오빠(曹霸)는 당나라 융성기의 유명한 말화가,당고종(唐高宗)의 총애를 받아 좌무위장군(左武卫将军)을 역임,안사(安史)의 난 이후 낙마하여 유랑생활을 함。764년(唐代宗广德二年),청두에서 두보가 차오빠를 만난 후 그의 처지가 안타까워 이 시를 씀。

1. 웨이(卫) 부인:웨이슈오(卫铄)。진(晋)나라때 유명한 서예가,예서체와 정서체에 뛰어났음。
2. 개원(开元):당현종(唐玄宗)의 연호(713—741年)。국운과 문화가 융성하여 이 시기를 개원의 치라고 함.
3. 난쉰전(南薰殿):당나라때 궁전 이름。
4. 링이엔각(浚烟阁) : 당태종이 개국공신들을 기념하기 위해 정관 17년(643年)에 세운 누각, 이앤리번(阎立本)등에게 명하여 24공신의 그림을 그림。
5. 진시앤관(进贤冠):옛날 중국학자들의 복식 이름。
6. 빠오공(褒公):단즈쉔(段志玄),빠오구오공(褒国公)에 봉해짐。
   어공(鄂公):웨이처공(尉迟恭),어구어공(鄂国公)에 봉해짐。두사람 모두 당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운 명장으로 공신도의 주인공。
7. 우화총(五花骢):당현종이 타던 말의 이름。위화총(玉花骢)이라고도 함.
8. 한간(韩干):당나라때 화가。인물화와 말그림으로 유명。처음에 차오빠를 스승으로 모시고 그의 화법을 답습하였으나 후에 자신만의 그림세계를 구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