当日个那娘娘在荷亭把宫商细按,谱新声把霓裳调翻。昼长时亲自教双鬟,舒素手拍香檀,一字字都吐自朱唇皓齿间。恰便似一串骊珠声和韵闲,恰便似莺与燕弄关关,恰便似鸣泉花底流溪涧,恰便似明月下泠泠清梵,恰便似缑岭上鹤唳高寒,恰便似步虚仙佩夜珊珊。传集了梨园部,教坊班,向翠盘中高簇拥个美貌如花杨玉环。
그날 선녀 같은 여인이 연꽃 핀 정자에서 궁상(宫商)1)을 섬세하게 맞추며
새로운 곡조를 만들고 예상(霓裳)을 다듬었네
길고 긴 낮에 스스로 양쪽 쪽 진 머리를 매만지고
하얀 손은 향단(香檀)2)으로 박자를 맞추니
붉은 입술 새하얀 이 사이로 튀어나온 한 자 한 자가
마치 여주(骊珠) 목걸이 소리처럼 조화롭고 우아하며2)
마치 꾀꼬리와 제비가 어울려 노래하는 것 같고
마치 꽃 밑에서 샘물이 계곡으로 소리 내며 흐르는 것 같고
마치 달 아래 스님의 청량한 독경 소리 같고3)
마치 거우링(缑岭) 위 높은 곳의 차가운 학 울음 같고4)
마치 밤중 허공을 걷는 신선의 패옥이 부딪치는 것 같았네5)
이원부(梨园部)6)와 교방반(教坊班)7)이 모두 모여
비취 쟁반 위 높이 올려놓고 둘러싸니
양옥환(杨玉环), 한 떨기 꽃 같은 미모였네
1) 궁상(宫商)은 고대 전통 음계 중 핵심적인 음계. 음악을 의미.
2) 흑룡의 턱 아래 천 개의 구슬이 달려 있다고 함.
3) 양귀비는 현종의 아들 수왕(壽王) 이모(李瑁)의 왕비였으나 현종과 사랑에 빠지게 되자 도덕적인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그녀를 일시적으로 출가시키고 양귀비는 수도원에서 태진(太真)이라는 법명을 받음.
4) 한서, 교사지 하(汉书·郊祀志下)에 따르면 주 영왕(周灵王)의 태자인 교(乔)는 거우산(缑山)에서 학을 타고 날아가 신선이 되었다고 함.
5) 도사가 제단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이 신선이 허공을 거니는 것처럼 우아하다고 하여 보허성(步虚声)이라고 함.
6) 당 현종이 설립한 음악과 가무를 훈련하던 기관으로 궁정 금원(禁苑)의 과수원에 소재하여 이원(梨园)이라고 칭함. 현종이 직접 관리하였고 현종의 작품 위주로 연주하였기 때문에 이원부의 예인을 ‘황제 이원 제자(皇帝梨园弟子)’라고 하게 됨.
7) 당 고조가 음악인을 훈련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립한 기관. 현종이 개원 2년(714년) 봉래궁(蓬莱宫) 내원(内苑)에 내교방(内教坊), 금성(禁城) 밖과 뤄양 두 곳에 외교방(外教坊)을 설치함. 교방반의 예인은 수준에 따라 추탄가(抽弹家), 궁인(宫人)과 내인(内人)으로 분류되었는데 그중 내인이 항상 황제 앞에서 연주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