凉夜迢迢,凉夜迢迢,投宿休将他门户敲。遥瞻残月,暗度重关,奔走荒郊,俺的身轻不惮路迢遥,心忙又恐怕人惊觉。吓得俺魄散魂消,魄散魂消,红尘中误了俺武陵年少。
(白)想俺林冲,在那八十万军中,作了禁军教头,征那土蕃的时节呵。
서늘한 밤이 길기도 길구나
서늘한 밤이 언제 끝나려나
어디 들어가 자려고 하니 그들에게 문 두드리지 못하게 하라
멀리 새벽달 바라보며
삼엄한 관문을 몰래 빠져나와
황량한 벌판을 급히 달릴 때
몸은 날렵하여 길이 아득하여도 거리낌이 없었으나
사람들이 놀라 깰까 마음이 초조해졌네
놀란 가슴 혼(魂)이 사라지고 백(魄)이 흩어지네
혼이 사라지고 백이 흩어지네
번잡한 세상에서 내가 무릉(武陵)1) 출신인 줄 잘못 알았네
나 임충이 팔십만 군대의 금군 교두(禁军教头)가 되어 저기 토번(土蕃)을 정벌하였던 때를 생각해보라
1) 한(汉 )나라의 다섯 황제(高, 惠, 景, 武, 昭)의 무덤이 있는 장안 부근에 부유층과 귀족이 모여 살아 오릉(五陵)이 귀족 또는 부유층이 모여 사는 지역을 뜻하게 됨. 임충이 고위 장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오(五)와 발음이 같은(우) 무(武)를 사용한 것으로 보임.
'昆曲 > 李开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충 야반도주하다(林冲夜奔), 고미주와 태평령(沽美酒带太平令) (0) | 2024.10.23 |
---|---|
임충 야반도주하다(林冲夜奔), 안아락과 득승령(雁儿落带得胜令) (0) | 2024.10.21 |
임충 야반도주하다(林冲夜奔), 절계령(折桂令) (1) | 2024.10.18 |
임충 야반도주하다(林冲夜奔), 점강순(点绛唇) (1) | 2024.10.16 |
임충 야반도주하다(林冲夜奔), 신수령(新水令) (0)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