雪晴天地一冰壶,竟往西湖探老逋。骑驴踏雪溪桥路。笑王维作画图。拣梅花多处提壶。对酒看花笑,无钱当剑沽,醉倒在西湖。
눈 그치고 온 천지가 옥병 안 얼음이라
임포(林逋)1) 찾아 시후(西湖)를 찾아가
나귀 타고 계곡 다리 길에서 눈을 밟으며2)
왕유가 그린 그림을 웃었네3)
여기저기 매화를 주워 주전자를 들어
술을 대하고 꽃을 보며 웃다가
돈이 떨어져 칼을 맡기고 술을 샀는데
취하여 시후에서 곯아떨어져 버렸네
1) 시후 호숫가에 은거하였던 송나라 시인. 매화의 비유.
2) 맹호연이 눈보라 칠 때 파교(灞桥)에서 나귀를 타고 있으면 시상이 떠오른다고 한 고사의 인용.
3) 왕유가 그린 설계도(雪溪图)와 눈 속의 파초도(雪里芭蕉图)가 실제 눈 내리는 시후의 풍경에 못 미친다는 의미.
양조영(杨朝英, 생몰연대 불상)
호는 담재(澹斋)이며 산둥 칭청(山东青城) 사람으로 추정. 군수(郡守), 낭중(郎中) 등을 지내다 귀향. 관운석(贯云石), 아리서영(阿里西瑛) 등과 밀접하게 교류하며 글을 주고받음.
'元曲 > 杨朝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조·수선자(双调·水仙子), 스스로 만족함 (1) | 2023.12.22 |
---|---|
쌍조·수선자(双调·水仙子), 등꽃 점괘 허망하다 (2)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