风满紫貂裘,霜合白玉楼。锦帐羊羔酒,山阴雪夜舟。党家侯,一般乘兴,亏他王子猷。
보라색 담비 털옷에 찬 바람 가득하고
서리는 하얗게 옥루에 얼어붙었네
금실 휘장에서 양고주(羊羔酒)를 마시며1)
산인(山阴)에서는 눈 내리는 밤 배를 띄우네2)
당 씨댁 고관처럼
흥을 내어 보지만
왕자유(王子猷)3)에는 이르지 못하네
1) 북송의 명장 당진(党进, 927~978年)은 자신의 가희(家姬)를 한림학사 도곡(陶谷)에게 줌. 눈 오는 날 도곡이 눈으로 차를 끓이며 가희에게 “당 씨 집안도 이런 풍류를 아는가?”라고 묻자 가희는 “당 태위(党太尉)는 호방한 사람이라 이런 재미는 모르고요, 그는 금실 휘장 안에서 나지막이 노래 부르며 양고주를 마십니다.”라고 대답하여 도곡의 말문을 막음. 양고주는 롼청(栾城, 허베이 스자좡石家庄 동남쪽에 위치한 마을)에서 나는 명주로 한, 위(汉魏) 시대부터 존재. 어린 양고기를 섞어 발효시킴.
2) 진(晋)나라 때 왕휘지(王徽之)는 산인(山阴, 저장 사오싱绍兴)에 머물던 중 큰 눈이 내린 밤 잠이 깨자 문득 대규(戴逵)가 보고 싶어져 바로 배를 타고 산시(剡溪, 저장 성저우嵊州에 있는 하천)로 찾아감. 새벽녘에 도착하였으나 “흥이 일어나 왔지만 흥이 다해 돌아간다”라는 말을 남기고 왔던 길을 그냥 돌아감.
3) 자유(子猷)는 왕휘지의 자.
▶ 후정화는 선려궁(仙吕宫)에 속하는 곡으로 5, 5, 5, 5, 3, 4, 5의 기본 형식을 갖고 있음. 소령에서는 후정화파자(后庭花破子)라고도 하며 투수에서는 허시후정화(河西后庭花)라고도 함. 곡조 명은 남조 때 진 후주(陈后主)가 지은 옥수후정화(玉树后庭花)에서 유래.
여지암(吕止庵, 생몰연대 불상)
작품의 내용이 자신의 불운을 한탄하는 가운데 왕조의 흥망을 담고 있는 것이 많아 송나라의 유민으로 추정함. 후정화(后庭花) 10수로 유명함. 소령 33수와 투수 4수가 남아 있음.
'元曲 > 吕止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려·취부귀(仙吕·醉扶归), 제 삼 수 (0) | 2023.11.19 |
---|---|
선려·취부귀(仙吕·醉扶归), 제 이 수 (1) | 2023.11.19 |
선려·취부귀(仙吕·醉扶归), 제 일 수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