绿树听鹈鴂,更那堪、鹧鸪声住,杜鹃声切。啼到春归无寻处,苦恨芳菲都歇。算未抵人间离别。马上琵琶关塞黑,更长门、翠辇辞金阙。看燕燕,送归妾。
将军百战身名裂。向河梁,回头万里,故人长绝。易水萧萧西风冷,满座衣冠似雪。正壮士悲歌未彻。啼鸟还知如许恨,料不啼清泪长啼血。谁共我,醉明月。
푸른 숲에서 들리는 때까치 소리
마음 아파 들을 수 없네.
자고새는 가지 말라고 울부짖고*
뻐꾸기 울음도 가슴 저미네.
이 봄도 가고 나면 찾을 길 없는데
향기로운 꽃잎 모두 지니 괴로운 일이로다.
이 모든 일들이
세상사 이별에 어찌 비하랴
말위에서 비파 뜯고 변방 요새 캄캄한 곳 지나며*
화려한 수레에 올라 황궁을 작별하고
장문(长门) 별궁으로 물러남이라*
쌍쌍이 나는 제비 바라보며
돌아가는 첩을 전송함은 또 어떠한가*
백전에 빛나는 장군 갈가리 찢어진 명성
냇가 다리에서
만 리 머나먼 곳 돌아보며
옛 친구와 영원히 이별해야 했네*.
이수이(易水) 스산하고 서풍 차가운데
눈처럼 하얀 의관들 자리를 가득 메웠으니
사나이 대장부
비통한 노래 그치지를 않았네*.
저 지저귀는 새들 인간사 이렇게 한 많은 줄 알았다면
맑은 눈물 슬픈 노래 부르지 않고 내내 피를 토했으리라.
이젠 누가 나와 함께 있어
밝은 달을 보고 같이 취할 것인가
1) 자고새 우는소리가 마치 싱부더이에거거(行不得也哥哥, 사랑하는 님이여 내 곁을 떠나지 마오)처럼 들린다고 함.
2) 한 원제(汉元帝)의 궁녀 왕소군(王昭君)이 흉노의 호한사 선우(呼韩邪单于)에게 시집을 간 고전의 인용.
3) 한 무제(汉武帝)의 진황후(陈皇后)가 황제의 은총을 잃어 궁궐을 떠나 장문궁(长门宫)에 유폐되었음.
4) 춘추시대 위장공(卫庄公)의 처 장강(庄姜)은 아름다웠으나 자식을 낳지 못해 첩 대규(戴妫)를 통해 아들 완(完)을 낳게 함. 장공이 죽은 뒤 완이 후사를 이어 군(君)이 되었으나 주우(州吁)가 난을 일으켜 완이 죽음을 당하자 대규는 위나라를 떠나게 됨. 시경 패풍(诗经·邶风)에 나오는 시 연연(燕燕)은 장강이 대규를 송별하며 썼다고 함.
5) 한나라의 명장 이릉(李陵)은 흉노와 싸우다 투항함. 그의 친구 소무(苏武)는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 19년간 억류되었으나 변절하지 않음. 소무가 한나라로 돌아갈 기회를 얻게 되어 이릉과 영원한 이별을 하게 됨.
6) 전국시대 연나라의 태자 단(丹)이 이수이(易水) 강변에서 진왕 정(政)을 암살하기 위해 떠나는 자객 형가(荆轲)를 전송하는 고사의 인용. 전송하는 이들이 모두 흰옷을 입었으며 형가는 "바람 스산하고 이수이의 물 차갑구나, 장부 한번 떠나니 다시 돌아오지 않으리(风萧萧兮易水寒,壮士一去兮不复还。)”라고 노래함. 윤봉길 의사가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떠나며 "丈夫出家 生不还(대장부 집을 떠나니 살아 돌아오지 않으리라)"라고 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시.
▶ 신기질이 장시 옌산(铅山)에 거주할 때 사촌동생 무가(茂嘉)가 귀양 길에 오르는 것을 배웅하며 쓴 것으로 추정. 헤어졌다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였던 옛 고사 5개를 인용하여 동생과의 이별이 얼마나 기약 없고 쓰라린 것인지를 묘사.
신기질(辛弃疾, 1140~1207年)
자는 유안(幼安), 호는 가헌(稼轩)이며 리청(历城, 산둥 지난) 출신. 21세 때 의병으로 금나라와의 전쟁에 참전. 경경군(耿京军)에서 장서기(掌书记)를 맡았다가 이후 장인(江阴), 졘캉(建康), 후난, 후베이, 장시 등 지방관을 두루 거침. 42세 때 참소를 받아 관직을 박탈 당한 후 장시 신저우(江西信州)로 퇴거하여 20여 년 지냄. 64세에 저둥 안무사(浙东安抚使)와 전장지부(镇江知府)에 임명되나 오래가지 못함. 평생 금나라에 대한 북벌을 주장하여 공략 방안을 제출하였으나 채택되지 못함.가장단구(稼长短句)를 남겼으며 후세 사람들이 편집한 신가헌 시문초존(辛稼轩诗文钞存)이 있음.
'송사(宋词) > 宋词 辛弃疾'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汉宫春·立春日(한궁춘, 입춘) (0) | 2022.07.10 |
---|---|
念奴娇 • 书东流寸壁(염노교, 둥류촌 벽에 쓰다) (0) | 2022.07.07 |
鹧鸪天·鹅湖归病起作(자고천, 어후에서 돌아와 아픈 다음 쓰다) (0) | 2017.09.08 |
菩萨蛮·书江西造口壁(보살만, 장시 자오커우의 벽에 쓰다) (0) | 2017.09.06 |
青玉案·元夕(청옥안, 정월대보름) (0) | 201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