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年十五二十时,步行夺得胡马骑。
射杀中山白额虎,肯数邺下黄须儿。
一身转战三千里,一剑曾当百万师。
汉兵奋迅如霹雳,虏骑崩腾畏蒺藜。
卫青不败由天幸,李广无功缘数奇。
自从弃置便衰朽,世事蹉跎成白首。
昔时飞箭无全目,今日垂杨生左肘。
路旁时卖故侯瓜,门前学种先生柳。
苍茫古木连穷巷,寥落寒山对虚牖。
誓令疏勒出飞泉,不似颍川空使酒。
贺兰山下阵如云,羽檄交驰日夕闻。
节使三河募年少,诏书五道出将军。
试拂铁衣如雪色,聊持宝剑动星文。
愿得燕弓射天将,耻令越甲鸣吴军。
莫嫌旧日云中守,犹堪一战取功勋。
약관 15~20세 청춘의 때,
오랑캐의 말을 빼앗아 탔네。⑴
활로 잡은 산중 바이어호랑이(白额虎)와,⑵
이에샤의 누런 수염(邺下黄须儿) 어찌 헤아리랴。⑶
싸움터에 임하여 달린 길이 삼천리,
한자루 칼로 백만 군대를 감당하였네。
번개처럼 날랜 한(汉) 군사들,
달리며 두려운 것은 마름쇠뿐이라。
웨이칭(卫青)은 천행으로 패한 일이 없고,⑷
리쾅(李广)이 공을 세우지 못함은 운이 없어서라나。⑸
쓰임받을 일 없으니 노쇠해지고,
세상사 흐르는 물같아 백발이 되었네。
왕년에 활을 쏴 참새 눈을 맞추었건만,⑹
이젠 왼쪽 팔꿈치에 수양버들 늘어졌네。
길가에서 옛 제후처럼 참외를 팔고,⑺
문앞에 버드나무 심은 선생을 배웠다네。⑻
아득한 고목은 골목길 깊숙히 뻗었고,
썰렁한 창문 밖엔 스산한 겨울산 마주섰네。
슈러(疏勒)에 맹세하니 샘물이 솟았고,⑼
잉촨(颍川)처럼 술김에도 실수하지 않았네。⑽
허란산(贺兰山) 아래 구름같은 진용,⑾
격문은 밤낮없이 왕래하는구나。
황명을 받들어 삼허(三河)에서 장병들을 모으니,⑿
조서가 장군에게 다섯갈래로 출병을 명하네。
닳고 닳은 갑옷은 눈같이 빛나고,
휘두르는 한자루 칼에 북두칠성이 움직이네。
연(燕)땅의 활이 적장을 맞추길 기다렸으니,
적들이 조정을 놀라게 할 일 없으리라。⒀
옛적 윈종(云中) 태수가 부러워라,⒁
다시 일전을 벌여 공을 세울 수 있었으면。
* 당현종 개원 25년(737年),왕웨이는 감찰어사(监察御史)에 임명되어 전방에 파견되어,향저우 허시(凉州河西)에서 절도사 부사인 추이시이(崔希逸)의 진영에서 절도판관(节度判官)으로 근무하며 1년간 군생활을 하게 됨。이 기간에 그는 군졸들의 일상사를 깊숙히 체험하며 유명 장수들과 교류하면서,군정에 많은 불합리한 점을 발견하고 이 시를 씀。
1. 한나라때 장수 리쾅(李广)은 흉노족의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고 사로잡힐 위기에 빠졌으나 죽은 체 하고 있다 흉노 기병을 말을 탈취하여 탈출에 성공함。
2. 리쾅이 우베이핑태수(右北平太守)로 근무할 때 여러차례 바이어호랑이(白额虎)를 사살。바이어호랑이는 호랑이중 가장 흉포하다고 믿었던 전설상의 동물이며 3대 재해중의 하나로 여겼음。
3. 이에샤의 누런 수염(邺下黄须儿):조조(曹操)의 둘째 아들 조장(曹彰),누런 수염을 가졌고 성격이 용맹하여 우완(乌丸)에 원정하여 조조의 총애를 받음。이에샤(邺下)는 조조가 위(魏)왕으로 봉해질 때의 도읍으로 지금의 허베이 린장현 (河北临漳县) 서쪽。우완(乌丸)은 한대(漢代) 동호(東胡)족의 하나로 흉노(匈奴)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잔족(殘族)이 우환산(烏桓山)에 모여 살았음
4. 웨이칭(卫青):한나라때의 명장,한무제의 황후 웨이즈푸(卫子夫)의 동생,흉노족 토벌시 대장군。웨이칭의 조카인 훠취빙(霍去病)은 기병들만 데리고 무모하게 흉노 진영으로 달렸으나 적에게 포위되거나 부상을 당하지 않아,이를 천행(天幸)이라 함。
5. 리쾅(李广)은 수차례 전공을 세웠으나 한무제는 그가 연로하고 운이 따르지 않는 사람이라 하여 웨이칭에게 리쾅을 중용하지 말 것을 암시,이로 인해 리쾅은 공을 인정받지 못하고 논공행상에서 제외됨。
6. 우허(吴贺)가 이(羿)에게 활로 참새를 쏘게 하였더니 참새의 오른 쪽 눈을 맞춤。
7. 자오핑(召平)은 원래 진(秦)나라의 제후이었으나 진나라가 망한 후 장안(长安)의 칭치문(青绮门) 바깥 길가에서 참외를 팔아서 생계를 유지。
8. 진(晋)나라의 도연명(陶渊明)은 벼슬을 버리고 시골에 숨은 뒤 문앞에 5그루의 버드나무를 심고 호를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함。
9. 후한(后汉)의 겅공(耿恭)이 슈러성(疏勒城)에서 흉노족과 싸울때 흉노족이 성 바깥의 물길을 끊음, 겅공은 성안에 우물을 15장(丈)까지 파게 했으나 물이 나오지 않자 하늘을 우러러 “옛적 어셔(贰师)장군(리쾅리李广利)은 칼을 뽑아 산을 찔러 샘물이 솟았으니 오늘 한왕조에 신명의 덕이 어찌 끊어질 수 있으랴。”라고 하며 우물을 향하여 기도하자 물이 솟았다고 함。슈러(疏勒)는 지금 신쟝(新疆)의 슈러현(疏勒县)임。
10. 한나라 잉인(颍阴) 사람 관푸(灌夫)는 실권후 술만 마시면 불평불만을 쏟아내곤 하다 죽임을 당함。
11. 허란산(贺兰山):닝샤(宁夏) 중부지역에 있는 산 이름。
12. 삼허(三河) : 허난(河南)、허내이(河内)、허동(河东)
13. 춘추전국시대에 월(越)나라 군대가 제(齐)나라 국경을 침범하자,용먼즈훠(雍门子狄)가 월나라 군영 앞에서 스스로 목을 베고 죽음,월나라 군대는 이 모습을 보고 제나라 신하들의 애국충정에 놀라 전쟁에서 이기기가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철수함。제나라 왕은 상경(上卿)의 예로 용먼즈훠를 장사지냄。
14. 웨이샹(魏尚?— BC 157年)은 한무제때 윈종(云中 지금의 내멍구 퉈쿼퉈内蒙古托克托 동북쪽)태수로 임명。그는 변방을 지키면서 많은 공을 세웠으나 이후 조정에 보고시 사살한 적군의 수를 6명 부풀렸다는 이유로 면직되고 감사를 받게 됨。랑중서장(郎中署长) 펑탕(冯唐)이 심히 부당한 조치에 대해 황제에게 직간하여,문제(文帝)가 펑탕을 보내 웨이샹을 사면하고 위종태수로 복권시킴。
'당시(唐诗) > 唐诗 王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辋川闲居赠裴秀才迪(왕천 오두막에서 수재 페이디에게) (0) | 2020.12.21 |
---|---|
桃源行(도원행) (0) | 2020.09.21 |
洛阳女儿行(루오양의 여인) (0) | 2020.09.05 |
西施咏(시셔를 노래함) (0) | 2019.05.03 |
渭川田家(웨이천의 시골집) (0) | 201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