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下英雄气,千秋尚凛然。 势分三足鼎,业复五铢钱。
得相能开国,生儿不象贤。 凄凉蜀故妓,来舞魏宫前。
영웅의 기개는 천하를 채우고
세월이 흘러도 늠름함은 변함이 없네.
천하를 삼분하여 세력균형을 만들고
오수전(五铢钱)* 한실(汉室) 부흥을 이루었네.
재상 제갈량을 얻어 나라를 세웠건만
아들은 그 현명함을 닮지 못했네.
참담하구나, 촉나라 무희들이여
위나라 궁전으로 끌려와 춤을 추어야 했다네.*
* 오수전(五铢钱):한 무제 원수 5년(汉武帝元狩, BC 118년)에 발행힜던 동전. 왕망(王莽)이 신(新)나라를 세우고 폐지했던 것을 동한 초기 광무제(光武帝)가 다시 발행. 한왕조의 부흥을 의미.
* 유선(刘禅)이 위나라에 항복한 후 뤄양으로 끌려가 안락공(安乐公)으로 봉해짐. 위의 태위(魏太尉) 사마소(司马昭)가 연회중에 촉나라의 무희들에게 춤을 추게 하자 주위 모든 사람들이 비통해하였으나 유선은 웃고 즐거워하였음.
촉 선주의 사당은 쿠이저우(夔州, 지금의 충칭시 펑졔현奉节县 동쪽) 바이디산(白帝山)에 있음. 유우석이 목종 장경 원년(穆宗长庆, 821년)부터 4년간 쿠이저우자사로 재직하던 시기에 이 시를 씀. 시인은 옛날을 회고하면서 당 시대를 풍자함. 개국 당시 당나라의 왕성했던 국운은 유우석의 때에 와서 날로 쇠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렬한 집권자들이 혁신세력을 몰아내고 핍박하는 상황을 빗대어 표현.
유우석(刘禹锡, 772 ~ 842년)
자는 몽득(梦得)이며 ,허난 정저우 싱양(郑州荥阳)에서 태어남. 덕종 정원 9년(德宗贞元, 794년) 진사급제하여 태자교수(太子校书)이 됨. 화이난기실참군(淮南记室参军)을 거쳐 절도사 두우(杜佑)의 막부에서 근무하면서 신임을 얻음. 두우가 재상에 오르자 감찰어사(监察御史)가 됨. 정원 말년(805년) 왕숙문(王叔文)을 수장으로 하는 이왕팔사마(二王八司马)라는 정치집단에 가입. 순종(顺宗)이 즉위한 후 영정혁신(永贞革新)을 추진하였다가 실패하고 여러차례 귀양살이를 함.
시문이 아름답고 시 소재가 광범위하여 유종원과 더불어 유유(刘柳), 위응물·백거이와 더불어 삼걸(三杰) 또는 백거이와 함께 유백(刘白)이라고 불림. 철학 저작 천론(天论) 3편을 써 우주의 물질성을 주장함. 유몽득문집(刘梦得文集)과 유빈객집(刘宾客集)을 남김.
'당시(唐诗) > 刘禹锡'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和乐天春词(화창한 봄날) (0) | 2021.06.08 |
---|---|
乌衣巷(우이 거리) (0) | 2021.06.07 |
西塞山怀古(시사이산 회고) (0) | 202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