楚塞三湘接,荆门九派通。
江流天地外,山色有无中。
郡邑浮前浦,波澜动远空。
襄阳好风日,留醉与山翁。
초나라 변경에서 삼샹(三湘)이 접하였고 1)
징먼산(荆门山) 아래 아홉 물줄기가 합해진다. 2)
강물은 세상 바깥으로 흘러가고
안개속 산들은 보였다 숨었다 하는구나
포구 앞 성읍은 강 위에서 출렁이고 3)
파도가 쳐 저 멀리 하늘도 흔들린다.
샹양(襄阳)의 풍광이 너무 아름다워
머물러 산옹(山翁)과 같이 취하고 싶어라. 4)
1. 초나라 변경(楚塞) : 춘추전국 시대에는 한강 유역이 초나라(楚国)의 북쪽 국경이었음. 삼샹(三湘):샹수이(湘水)가 리수이(漓水)와 합해진 곳이 리샹(漓湘)이며 증수이(蒸水)와 합해진 곳이 증샹(蒸湘), 샤오수이(潇水)와 합해진 곳이 샤오샹(潇湘)인데 총칭하여 삼샹이라 함. 옛 시에서는 일반적으로 둥팅호 남북과 샹강(湘江) 일대를 의미.
2. 징먼산(荆门山) : 후베이성 이두(宜都)현 서북쪽 창강 남안에 있는 산.
3. 배를 타고 바라보는 샹양성(襄阳城)이 강 위에서 파도에 따라 출렁이는 것 같은 착시를 표현.
4. 산옹(山翁):산졘(山简)을 가리킴. 진(晋)나라때 죽림칠현의 한사람인 산타오(山涛)의 아들로 샹양에 주둔할 때 매번 시씨(习氏)의 정원에 가서 취하도록 마시곤 하였음.
* 당현종 개원28년(740년)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맡고 있던 왕웨이는 공무로 남방으로 가는 길에 샹양(襄阳)에 들러 한강(汉江)의 경치를 감상하며 쓴 시. 한강은 한수이(汉水)라고도 하며 산시(陕西)와 후베이를 거쳐 창강(长江)으로 유입됨.
'당시(唐诗) > 唐诗 王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和贾舍人早朝大明宫之作(가사인의 대명궁* 조회에 답하여) (0) | 2021.03.10 |
---|---|
终南别业(중난산 오두막) (0) | 2020.12.30 |
送梓州李使君(리셔쥔을 저저우로 보내며) (0) | 2020.12.28 |
酬张少府(장소부에게 보내는 답시) (0) | 2020.12.26 |
终南山(중난산) (0) | 2020.12.25 |